질환백과
- 정의
- 급성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(hepatitis C virus, HCV)에 감염되어 간에 염증이 발생하고 간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입니다. 제2군 전염병에 속합니다.  
- 원인
- 급성 C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통해 전염되며,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습니다. 오염된 주삿바늘, 바늘, 침, 손톱깎이, 면도기, 칫솔, 그 밖에 피부를 뚫는 모든 행위(문신, 침술, 피어싱 등) 등에 의해 전염될 수 있으므로 이런 기구를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. 환자의 정액과 질액에 바이러스가 존재하므로 성행위에 의하여 전염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부부간 전염률은 5% 이하로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특별한 전염 경로를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. 
- 증상
- 급성 C형 간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전신 피로감, 미열, 근육통, 기침, 콧물 등의 감기 증상입니다. 증상이 미약하여 모르고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. 오심, 구토, 식욕 부진, 복부 불쾌감 등 소화기관에서 불편감이 느껴지며 가끔 설사가 생기기도 합니다. 질병이 진행되면 일부 환자는 전신적인 자각 증상을 느끼며 소변이 콜라색처럼 진하게 변하기도 합니다. 며칠 뒤에는 눈과 피부에 황달이 생기며,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 급성 C형 간염에서 급성 간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.  
- 진단
- 급성 C형 간염은 혈액 검사, 즉 C형 간염 항체(Anti-HCV) 검사와 HCV RNA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. C형 간염 항체(Anti-HCV) 검사는 고위험군에 대한 선별 검사 및 의심 환자에 대한 1차 검사로 사용합니다. 그러나 위양성이 많으므로 이 검사를 통해 확진하지는 않습니다. C형 간염 항체(Anti-HCV) 검사상 양성이 나오면 HCV-RNA 검사를 통해 체내 C형 간염 바이러스 유무를 검사합니다. 
- 치료
- 증상이 있으면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합니다. 또한 절대 안정 및 고단백 식이요법 등의 대증 요법으로 치료합니다. 발병 후 4개월과 6개월째 HCV-RNA 검사를 시행하여 모두 음성으로 나타나면 완치된 것으로 판단합니다. 
- 경과
- 급성 C형 간염 환자들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. 급성 C형 간염에서 급성 간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. 그러나 급성기에는 증상이 심하여 대증 요법을 위해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. 간혹 드문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 - 급성 C형 간염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약 50% 이상의 환자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한다는 것입니다. 만성 간염이 되면 수 년 ~ 수십 년에 걸쳐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급성 C형 간염을 앓고 약 12주 정도까지 주기적으로 정밀 검사를 시행하여 바이러스가 혈액에서 사라지지 않으면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. 표준 치료를 시행하면 완치율은 90% 이상으로 매우 효과가 좋습니다. 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















